Skip to main content

Cypto background

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 교육 아티클 : https://upbitcare.com/academy/education/coin

디지털 자산, 어떻게 구분할까요?

구분

  • 지급형 토큰(Payment tokens)
  • 유틸리티 토큰(Utility tokens)
  • 자산형 토큰(Asset tokens)

지급형 토큰(Payment tokens)

지급형 토큰이란 재화 또는 용역을 구매할 때 지불하는 법정화폐처럼 교환의 매개 수단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 토큰 그 자체의 경제적 가치에 의해 화페와 같은 역할
  • 비트코인(Bitcoin, BTC), 라이트코인(Litecoin, LTC), 도지코인(Dogecoin, DOGE)
  •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정부나 은행과 같은 중앙기구의 개입 없이 개인끼리 자유롭게 거래를 체결

유틸리티 토큰(Utility tokens)

유틸리티 토큰이란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 안에서 작동하는 디앱(Dap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을 의미합니다.

  • 해당 플랫폼의 디앱이나 서비스에서 화폐와 같이 사용되기도 하고, 플랫폼 내에서 지분을 확보하려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 엄밀히 말하자면 “토큰(Token)”과 “코인(Coin)”은 서로 다른 개념.(메인넷 여부, 메인넷 존재 = 코인)

코인(유틸리티 코인)

  • 코인이란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자체적인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메인넷)을 가지고 있는 디지털 자산을 의미
  • 토큰이란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발행되는 디지털자산을 의미.
  • (유틸리티) 코인 예: 이더리움(Ethereum, ETH), 에이다(Cardano, ADA), 이오스(EOS, EOS)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s)

증권형 토큰이란 부동산, 동산 등의 실물 자산 또는 주식, 어음, 채권 등의 금융투자상품을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에 연동한 디지털 자산

  •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해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디지털화한 것을 의미

하이브리드 토큰(Hybrid tokens)

러 유형의 특성을 중첩적으로 가지는 디지털 자산을 하이브리드 토큰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스테이블코인은 무엇인가?

스테이블 코인의 목적

  • 전 세계 거래소에서 통용되는 기축 통화를 만들기 위함이다.

스테이블 코인은 담보가 필요하다.

  • 금 가격에 가격을 고정시키기도 한다.
  • 가장 많이 달러에 가격을 고정시킨다.

어떻게 담보를 보장하는가?

1)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

  • 은행에 법정화폐만큼 예치를 하고, 이에 상응하는 만큼만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
  • 대표적으로 테더와 USD Coin이 있다.

2) 디지털자산 담보 스테이블코인

  •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메이저 디지털자산을 담보로 맡기고, 그 만큼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한다.
  • 투명성을 보장하지만 높은 담보비율을 요구하여 효율성이 떨어진다.

3)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 수요와 공급을 지속적으로 조절하여 가치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식의 스테이블코인
  • 예시로는 BASIS와 TERRA가 있습니다.
  • 신뢰가 무너지는 순간 가치는 0으로 수렴

혼종

  • 2와 3을 혼합한 아이언(Iron), 75%를 USDCoin으로 구성, 25%는 아이언의 안정성을 조절하는 타이탄(Titan)
  • 1과 2를 혼합한 월트(Wault)

DPoS의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 DPoS)은 지분 증명(Proof of Stake, PoS) 알고리즘의 변형된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민주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DPoS는 사용자들이 자신이 보유한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대표자를 선출하고, 이 대표자들이 블록을 생성하거나 거래를 검증하는 방식입니다.

DPoS의 주요 개념

  1. 대표자 선출:

    • DPoS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투표를 통해 대표자를 선출합니다.
    • 각 참여자는 자신이 보유한 암호화폐를 통해 투표권을 행사하며, 더 많은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용자가 더 큰 투표권을 가집니다.
    • 대표자는 네트워크의 운영과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기적으로 재선출될 수 있습니다.
  2. 블록 생성:

    • 선출된 대표자들만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을 갖습니다.
    • 이로 인해 블록 생성이 더욱 효율적이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대표자가 올바르게 행동하지 않거나 네트워크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할 경우, 다른 참여자들의 투표에 의해 해임될 수 있습니다.
  3. 보상 분배:

    • 대표자는 블록 생성 및 거래 검증에 대한 보상을 받습니다.
    • 일부 DPoS 시스템에서는 대표자가 받은 보상을 투표자들과 나누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 투표자들은 자신이 지지한 대표자의 성공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DPoS의 장점

  • 효율성: 적은 수의 대표자가 블록을 생성하므로, 거래 처리 속도가 빠르고 네트워크의 확장성이 높습니다.
  • 민주성: 사용자들이 투표를 통해 대표자를 선출하므로, 네트워크의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보안성: 대표자가 네트워크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할 경우, 투표를 통해 쉽게 교체할 수 있어 보안성이 높습니다.

DPoS의 단점

  • 중앙화 위험: 소수의 대표자가 네트워크를 통제할 수 있으므로, 대표자들이 담합할 경우 중앙화의 위험이 있습니다.
  • 복잡성: 투표와 대표자 선출 과정이 복잡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들이 참여하기 어렵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 대리 투표: 일부 사용자들이 투표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않거나 무관심할 경우, 특정 소수의 투표로 네트워크가 운영될 위험이 있습니다.

결론

위임지분증명(DPoS)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민주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DPoS를 통해 사용자들은 네트워크의 운영에 직접 참여하고, 대표자를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거래 처리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앙화의 위험성과 복잡성 등의 단점도 존재하므로, 이러한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DPoS 기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