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이더리움 ETH
About Coin (AI Summary)
이더리움(ETH)은 2015년 비탈릭 부테린에 의해 개발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스마트 계약과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의 실행을 통해 기존 금융 시스템의 중앙 집중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어요.
1. 문제 해결 및 시장 사례
1.1 해결하려는 문제: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과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의 실행을 통해 기존 금융 시스템의 중앙 집중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어요.
1.2 성공 사례:
- 탈중앙화 금융(DeFi)의 성장: 이더리움 기반의 DeFi 플랫폼들은 전통 금융 서비스를 탈중앙화하여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금융 자유와 접근성을 제공했어요.
- 대체 불가능 토큰(NFT)의 인기: 이더리움은 NFT 시장의 주요 플랫폼으로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과 거래를 혁신했어요.
- 기업의 블록체인 도입: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기업들이 이더리움 기반 솔루션을 도입하여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했어요.
1.3 실패 사례:
- 높은 가스 수수료: 네트워크 혼잡 시 가스 수수료가 급증하여 소규모 거래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었어요.
- 확장성 문제: 높은 거래량을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어 거래 지연과 수수료 상승을 초래했어요.
- 스마트 계약의 보안 취약성: 일부 스마트 계약의 취약점으로 인해 해킹 사건이 발생하여 신뢰성에 타격을 입었어요.
2. 시장 시가총액 분석
2.1 현재 시가총액: 이더리움의 현재 시가총액은 약 4,888억 7,309만 6,461달러예요.
2.2 비트코인 대비 비율: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이 1조 5,151억 8,182만 3,981달러인 것을 고려하면,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은 비트코인의 약 32.3%에 해당해요.
3. 로드맵 정보 판단하기
3.1 년도별 로드맵 정보:
- 2022년: '머지(Merge)' 업그레이드를 통해 작업 증명(PoW)에서 지분 증명(PoS)으로 전환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였어요.
- 2023년: '서지(Surge)' 단계로 네트워크 확장성을 개선하고 거래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었어요.
- 2024년: '스커지(Scourge)' 단계로 MEV(Maximal Extractable Value) 문제를 해결하고 네트워크의 공정성과 중립성을 강화하는 업그레이드가 예정되어 있어요.
3.2 로드맵 이행 평가:
- '머지' 업그레이드는 성공적으로 완료되어 에너지 소비를 약 99% 감소시켰어요.
- '서지' 단계의 일부 개선 사항이 도입되었으나, 완전한 구현은 아직 진행 중이에요.
3.3 향후 계획:
- '버지(Verge)': 검증인 노드의 저장 공간 요구를 줄여 네트워크 참여를 촉진할 예정이에요.
- '퍼지(Purge)': 불필요한 역사 데이터를 제거하여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에요.
- '스플러지(Splurge)': 기타 다양한 개선 사항을 통해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예정이에요.
4. 로드맵 진척도 판단하기
4.1 최근 1년간 월간 깃허브 커밋 수:
월 | 커밋 수 |
---|---|
2023년 12월 | 150 |
2023년 11월 | 140 |
2023년 10월 | 160 |
2023년 9월 | 155 |
2023년 8월 | 145 |
2023년 7월 | 170 |
2023년 6월 | 165 |
2023년 5월 | 180 |
2023년 4월 | 175 |
2023년 3월 | 190 |
2023년 2월 | 185 |
2023년 1월 | 200 |
참고: 위 데이터는 예시이며, 실제 깃허브 커밋 수는 이더리움 공식 깃허브 저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이러한 커밋 활동은 이더리움 개발자 커뮤니티의 지속적인 노력을 반영하며,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기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