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성과 내기 ( Output Driven )

인생을 살다보면 중요한 순간에 성과가 필요하다.

  • 적절한 시드머니가 모였을 때 올바른 투자 의사 결정 만들기
  • 부동산 매수 시점에 충분히 인플레이션을 방어할 로케이션과 매물 잡기
  • 회사에서의 비즈니스 임팩트에 기여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팀 리더십
  • 좋은 물건을 기획 및 제작해서 세일즈 및 매출 올리기

단순히 노력의 양과 성과는 비례하지 않는다.

  • 기본기가 중요해서 기본기만 100번 닦는다고 성과로 이어지지 않는다.
  • input -> output -> outcome -> impact 순서로 영향력은 극대화 된다.
  • 철처한 계획과 시스템으로 움직여야 함
  • 계속 input만 주는것도 좋지 않다. 어느정도 리서치, 스터디를 끊고 output을 만들어야 한다.
  • *내가 하는 노력이 input이 더 많은지 output이 더 많은 생각해보자.

성과의 명확한 목표 부터 시작한다.

  • 어떠한 임팩트를 원할지 몰라서 모든 입력을 받는다?
  • 너무 가성비가 떨어진다. 포커스 온 임팩트 하는 행동이 되지 못한다. 제때 결과를 내야 한다.

📌 개발자가 성과를 내려면

1.고통스러운 문제 파악하기

  • 특출난 아이디어가 아니라 가장 고통스러운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다.
  • '엄마 테스트' : 상사가 좌절감을 파악하기, 해결하고 싶은 문제를 캐치 하기 ( 엄마는 당신을 사랑하기에 사업 아이디어가 좋다고 말한다. 이에 반해 진실을 파악해야함. )

2.남보다 내가 했을때 더 즐기면서 하는 기술을 파악하기

  • 나는 별거 아니었는데, 다른 사람이 생각했을때 대단하다고 느끼는 것들을 인지해라.
  • 가령, 새로운 기술을 리서치하고 온보딩 하는데 두려움이 없다던가.
  • '에너지를 얻는 행동', '본능적으로 에너지를 얻는 행동', '칭찬받는 행동'.

3.Output에 집중하여 ~ OutCome과 Visibility 챙기기

  • 사실 아무도 원하지 않는 페인포인트를 스스로 해결하면 노력해도 노력한것이 아니게 된다.
  • 많은 사람들이 고통이라고 공감하고, 확실하게 해결해준다면 그 노고를 인정받게 된다.
  • 수행
    • 아이디어와 기술 리서치 및 검증을 먼저 수행해서 실현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
      • *성과의 시의 적절성 - 항상 같은 방식이 통용되지는 않는다. eg, AI를 도구 활용이 적극 필요할 수 있다.
    • 큰 과제는 사실 팀 단위로 움직인다.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팀 리더십이 굉장히 중요하다.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