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우울함의 원인의 단상과 내면의 가치 집중.
나는 지금 우울하다.
- 왜 우울한지는 잘 모르겠다. 우울함이라는 큰 카테고리가 찾아오긴 했다.
- 큰 틀에서 복잡한 생각에 사로잡혀, 나도 모르는 감정의 세부 논리가 결국 우울함을 만들어 냈다.
- 하지만 분명 나는 4년 전의 나와 비교하면 더 나아졌다. 근데도 우울하다고?
- 내면의 가치와 물질적 가치 모두 결론적으로 더 나빠지지는 않았다. 역성장은 아니라는 말.
- 설령 내가 소유한 자산이 역성장해도 내면의 가치는 확실히 성장했다.
우울함의 원인
- 나는 전혀 모르고 살았었다. 모르고 살았을 때가 더 행복했을지도.
- 근데 이미 알아버렸다. 세상에는 많은 결함이 존재하고 이러한 결함은 관심조차 받지 못한다.
- 다양한 결함이 나의 불안감을 고조시켰다.
- 결함 중 하나는 내 기본 생활을 영위시켜 주는 직장에서 언젠가는 나와야 한다는 것.
- 직업의 불안정성 때문에 크게 스트레스받는 것 같다. 결론은 스스로 서야 한다.
- 무슨 명예회장도 아니고 나중에 능력도 없는데 거액의 월급만 쪽쪽 빨아먹는 사회의 기생충이 되는 것을 원하지도 않는다.
- 스스로 경제적 독립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가치에 집중해야 한다. 돈을 그냥 때가 되면 따라온다고 생각해야 한다.
- 외부의 환경에 덜 흔들릴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면의 가치에 더 집중해야겠다.
내면의 가치와 즐거움에 집중하기
-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내면의 가치는 예술, 도덕, 철학, 성장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다.
- 미술이 아닌 삶을 예술처럼 사는 것은 가능해 보인다. 그런 예술인 같은 개발자를 본 적이 있다.
- 내면의 성장 또한 아름답다. 분명한 사고력 증진에 집중하는 것은 중요하고 흔들리지 않는 단단한 기둥을 만들어 줄 것이다.
- 부족했던 개발자의 사고력 자체를 키우는 것에 몰입하는 태도를 만드는 것이 어렵지만 반드시 해야 하는 미션이다.
처음에는 내면의 가치가 보잘것없다는 생각이 든다.
- 내면의 가치를 키운다고 당장 돈이 안 되는데 그게 뭐가 그렇게 중요한지…. 라는 생각이 계속 든다. 
- 당연하다. 내면의 가치를 엄청나게 갈고 닦고 키웠는데 방안에만 있으면 돈을 벌 수 없다. 
- 구인 과정을 통해 다른 고용주가 그 가치를 알아주고 그 가치에 레버리징 해야 부산물로 돈이 따라온다. 
- 그렇다고 직장 생활에 헌신을 다 한다고 평생 먹고살 만큼 생활을 보장해 주지는 않는다. 
- 직장을 다니면서 레버리지 시스템을 만들지 못하면 절대 큰 돈을 벌 수 없다. 
- 근로소득은 다른 사람이 자본을 이용해서 나를 수단으로 삼아 레버리지를 일으키는 것이다. 
- 근로계약 때 회사 매출의 1%를 주는 등의 보상과 스톡옵션으로 대박 나는 건 운의 영역이다. 
외부 환경에 의존하면 비교에서 쉽게 무너진다.
- 내면의 가치에 집중해서 물질적 보상과 상관없이 스스로 단단해지는 것이 필요하다.
- 나의 가치를 재산, 직함, 근로소득 등에 자꾸 끼워 맞추면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다.
- 외부와 단단히 격리된 나만의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 내면의 가치를 위대하게 평가하자. 사라지지 않는 소중한 불변의 가치이다.
내면의 가치에 100 만큼 집중하면 굶어 죽지 않냐?
- 세상에 어떤 바보가 생존을 위한 노력을 0 만큼 하는가.
- 최소한의 인간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균형 잡힌 노력은 해야 한다.
- 따라서 그 노력도 기쁘게 자리를 내어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