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AI Workprocess

목적

Product Engineer로 일하면서 AI 기능 MAX로 활용하여 10x 생산성을 극대화 한다.

Prompt & 규칙 적용 Principal

📕 1.Prompt는 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으로 논리적 연결을 지향해야 한다.

Don't

  • 모든 내용을 한번에 담은 프롬프트

Do

  • [배경지식: 인과 그래프의 구성요소] > [지침: 주요 노드와 지표 추출 방법] > [출력 형태 및 예]
  • 지식부분, 지침 부분, 출력 레이어를 분리

📕 2.규칙 적용은 범위가 있다.

Don't

  • 매번 프롬프트 넣을때마다 동일한 규칙 적용

Do

  • 직접 넣기 : 서버코드 작업할때는 서버 관련 규칙만 넣음, CSS 작업 단계에서는 스타일 관련 규칙만 넣음
  • 디렉터리 규칙 : client > src > validator 하위는 유효성 검증 관련 규칙 넣음

📕 3.Prompt에는 구체적인 사례를 포함시켜 정확도를 올린다.

Don't

  • SOLID 원칙을 준수하며, 클린코드와 리팩토링이 쉬운 코드 넣어줘.

Do

  • 특정 도메인 혹은 관련 서비스 코드에서 단일 책임 적용된 예시 코드 넣기.

📕 4.한번에 너무 많은 작업보다는 중간 결과물 생성 후 step by step 진행

Don't

  • 요구사항을 보고 구현해줘.

Do

  • 1.요구사항을 SRD로 변경하는 단계.
  • 2.SRD를 구현 계획 및 체크리스트로 변경하는 단계.
  • 3.체크리스트를 구현하고 테스트 후 검증하는 단계.
  • 4.이터레이션을 도는 단계.

📕 5.500줄 이하 권장

AI가 소화할 수 있는 Context Window는 500줄 정도가 적당하다고 한다.

Don't

  • 경전에 가까운 코드 작성 지침

Do

  • 500줄 이하로 유지, 넘는 경우 더 작업을 세분화 해야 한다.

FE Workprocess

  • Step1 📌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기획서 산출 (규칙 프롬프트)
  • Step2 📌 기능 단위 체크리스트 형태의 개발 기획서 산출 (규칙 프롬프트)
  • ㄴStep2.1 📌 서비스 로직 구현 지침 (규칙 프롬프트)
  • Step3 📌 기능 단위 실행 (규칙 프롬프트)

File Dire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