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AI Workprocess - eg, ERD Tools

Step 1: Prompt - 인과 그래프 작성 준비

[목적]

주어진 텍스트를 바탕으로 인과 그래프 설계 및 리서치하여 출력합니다.

지식:[인과 그래프의 구성요소]

인과 그래프는 노드(Node)엣지(Edge), 두 가지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집니다.

  • 노드(점): 경제 현상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요소입니다.

    • 이벤트 노드 (원): 발생했거나 발생하지 않은 사건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수에즈 운하 봉쇄'나 '테러 사건 발생'과 같은 개념입니다.
    • 수치 노드 (사각형): 물가지수나 주식 가격처럼 수치화가 가능한 경제 현상을 표현합니다.
  • 엣지(화살표): 노드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관계에 대한 수치 정보를 포함합니다. 관계의 종류에 따라 표기 방식이 달라집니다.

    • 수치-수치: 상관관계(r)와 회귀분석 베타(β)를 사용해 관계를 나타내고, 통계적 유의미성(p값)으로 우연일 가능성을 판단합니다.
    • 이벤트-수치: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수치 노드가 어떻게 변하는지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수에즈 운하 봉쇄'라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전세계 운송량 12% 감소'와 같은 수치 변화를 표현합니다.
    • 수치-이벤트: 수치가 얼마나 변해야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임계점을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자격증 시험 점수 75점'이라는 수치가 '합격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입니다.
    • 이벤트-이벤트: 한 이벤트 발생 시 다른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을 나타냅니다.

지침:[주요 노드와 지표 추출 방법]

  1. 핵심 키워드 및 개념 파악
  • 주어진 텍스트를 읽고,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핵심 키워드나 개념을 먼저 찾습니다.
  • [인과 그래프의 구성요소]가이드의 노드와 간선 종류들을 분류합니다.
  • 이벤트, 수치 노드 구분해서 출력합니다.
  • 간선들과 간선 종류, 간선 종류별 지표를 출력합니다.
  • 텍스트에 지표가 없는 경우 리서치를 진행해서 추정값과 근거를 추출합니다.
  • 노드는 반드시 원본 텍스트를 기반으로만 추출합니다.
  • 간선의 속성은 반드시 지시사항내에서만 정의합니다.
  • 지표는 원본에 없는 경우 리서치해서 추정값과 근거를 추출합니다.

[출력 형태 예]

  • 마크다운의 형식으로 출력
[노드 리스트]
- 이벤트 노드: "수에즈 운하 봉쇄", "테러 사건 발생"
- 수치 노드: "전세계 운송량", "물가지수", "주식 가격"

[지표를 포함한 간선 리스트]
- "수에즈 운하 봉쇄"(이벤트) → "전세계 운송량"(수치): Δ -12%
- "전세계 운송량"(수치) → "물가지수"(수치): r = -0.65, β = -0.4, p < 0.05
- "물가지수"(수치) → "주식 가격"(수치): r = -0.7, β = -0.5, p < 0.01
- "테러 사건 발생"(이벤트) → "주식 가격"(수치): Δ -3% (사건 발생 후 1주일 내 평균)

[지표의 추정 근거]
- "수에즈 운하 봉쇄" 시 전세계 운송량 12% 감소는 실제 2021년 수에즈 운하 사태 데이터를 참고함.
- "전세계 운송량"과 "물가지수"의 상관관계 및 회귀계수는 세계은행 및 IMF 무역/물가 통계 기반 추정.
- "물가지수"와 "주식 가격"의 상관관계는 글로벌 금융위기 및 팬데믹 시기 데이터를 참고.
- "테러 사건 발생" 후 주식 가격 하락폭은 주요 글로벌 테러 발생 직후 S&P500, KOSPI 등 지수 변동 평균치 참고.

Step 2: Prompt - 시각화

[목적]

주어진 인과 그래프 설계를 바탕으로 인과 그래프를 작성합니다.

[인과 그래프의 구성요소]

인과 그래프는 노드(Node)엣지(Edge), 두 가지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집니다.

  • 노드(점): 경제 현상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요소입니다.

    • 이벤트 노드 (원): 발생했거나 발생하지 않은 사건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수에즈 운하 봉쇄'나 '테러 사건 발생'과 같은 개념입니다.
    • 수치 노드 (사각형): 물가지수나 주식 가격처럼 수치화가 가능한 경제 현상을 표현합니다.
  • 엣지(화살표): 노드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관계에 대한 수치 정보를 포함합니다. 관계의 종류에 따라 표기 방식이 달라집니다.

    • 수치-수치: 상관관계(r)와 회귀분석 베타(β)를 사용해 관계를 나타내고, 통계적 유의미성(p값)으로 우연일 가능성을 판단합니다.
    • 이벤트-수치: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수치 노드가 어떻게 변하는지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수에즈 운하 봉쇄'라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전세계 운송량 12% 감소'와 같은 수치 변화를 표현합니다.
    • 수치-이벤트: 수치가 얼마나 변해야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임계점을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자격증 시험 점수 75점'이라는 수치가 '합격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입니다.
    • 이벤트-이벤트: 한 이벤트 발생 시 다른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을 나타냅니다.

[구체적 인과 그래프 작성 지침]

  1. 명제 분해: "수에즈 운하가 막히면 주식 가격이 하락한다" 같은 막연한 생각을 "수에즈 운하가 막히면 세계 무역량이 감소한다", "세계 무역량이 감소하면 상품 공급이 감소한다"와 같이 더 작고 구체적인 명제로 나눕니다.
  2. 연결고리 파악: 분해된 명제들 간의 논리적 연결을 찾고, 논리가 불확실하거나 약한 부분을 확인합니다.
  3. 리서치 집중: 불확실한 연결고리에 대해 집중적으로 리서치하여 판단을 내립니다.
  4. 수치화: 엣지에 상관관계(r), 회귀분석 베타(β), 변화율(Δ), 확률(Prob) 등의 정량적 수치를 채워 넣어 인과 관계를 명확하게 합니다.
  5. 시간적 요소 추가: 필요에 따라 노드 아래에 $T=0, 1, 2…$ 등으로 표기하여 인과 관계에 걸리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6. 경로 분석: 여러 갈래로 나뉘는 엣지의 경우, 각 경로가 최종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균하거나 신뢰도가 높은 관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분석합니다.

[그래프 출력 형식]

mermaid 형식으로 출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