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사업의 CODE

What

결과적으로 다음이 따라온다.

1.1등을 해봤으니, 사업의 영역에서도 1등을 할 수 있다.

2.100% 에너지 소비

  • 회사에서 에너지를 100% 붓지는 않는다.
  • 무언가에 집중할 것에, 인생을 바칠만한 것이 아니다.
  • 내 사업이 아니기 때문에

3.돈

  • 돈은 저절로 따라온다.
  • 절때로 돈이 잘 벌릴것 같아서 그러지 마라.

4.명예

  • 종합예술인 사업의 영역을 정복한 사람은
  • 다른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는다.

5.주체성

  • 내 인생을 제대로 산다는 느낌

How

다른 사람들의 문제점을 해결해주면 된다.

Why

문제해결

1.이타심과

정말로 타인에게 감정 이입해서 문제해결을 하는 것

  • 정말로 사람들의 문제점을 해결해주는가 ?
  • 속시원하게 가려운 부분들이 긁기는가 ?

블록체인이 나, 가족, 친구, 지인에 그래서 어떠한 도움을 주는건데? 왜 반드시 필요한건데?

  • 탁상공론, 시장조사 공부 등 이론만 공부해서 접근해서 그렇다.

2.디테일&창의성

  • 사람들의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추면, 정말 디테일한 요소들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이타심에서 로 보기

  • 가장 이기적인 것이 가장 이타적이다.
  • 그러면 창의성이 따라온다.
  • 나한테 계속 물어보면서 사업의 디테일이 만들어진다.
  • 정말로 나만을 위한 문제,
  • 나를 위해서 공부하는것이 중요하다. 더 집요하게 파야 한다.

3.아이템
나에게 집중하면 아이템이 저절로 따라온다.

  • 내 문제를 해결하려다가, 타인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4.마켓팅

  • 브랜드의 핵심 이미지는 진정성이다.
  • 창업자의 노트 같은 것
  • build in public 같은 것
  • 흉내내려고 하지 마라, 어차피 진성성이 결여된 마켓팅은 사람들이 알게 되어 있다.
  • eg) 나이키 - 백인이 선수가 흑인 앞에 무릎꿇은 사건, 백인의 수치라며 퇴출당한 백인 선수를 나이키가 모델로 만들고 구단을 만든 일

나 같은 사람을 찾는다.

  • 마켓팅이라고 하지 않는다.
  • 나와 유사한 문제 의식을 가진 사람을 찾는다고 한다.

5.비전,팀웍

초반에 열기가 식고 나중에는 열정이 식는다

  • 돈으로 약속하면, 나중에 반드시 떠난다.
  • 나의 핵심 문제를 깊게 고민해라
  • 그리고 우연히 내가 가진 문제와 동일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랑 코어 맴버다.

리더는 외롭지 않다.

  • 영혼의 계약을 하지 않고, 돈으로 계약을 한다.

위장 팀원 구분법

  • 회사가 잘 안되면 이사들의 월급을 낮추어 본다.
  • 월급을 줄여봐라.

6.내적동기 vs 외적동기

하이브 - 방시혁, 음악은 정말 멋있는데 이를 무시하는 사람들에게 분노
지식In - 지식의 대중화

  • 코어 밸류에 다른 사람들이 들어오고, 점점 그 가치가 약해진다.

모두에게 사랑받을려고 하면, 모두에게 사랑받지 못한다.

외적동기는 돈을 목표로하는 것

7.성공규모 & 타이밍

시대는 컨트롤 할 수 없다.

  • 그냥 해놓고 기다린다.
  • 우연히 터지는 사람은 빠르게 거품이 꺼진다.

So,

  • 사업의 제 1소비자는 나이다.
  • 가장 이기적인 것이, 가장 이타적이다.
  •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이다.
  • 욕망의 사업이, 자아의 발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