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주식 초보를 위한 월가아재 강의 - 선행편 Remake

1.확률적 우위

잘못된 사례

1.성공한 사례를 부풀려 말하기. -누군가는 10번 매매 중 10번 수익을 본다.

2.P-Hacking

  • 백테스팅 기반의 유사 퀀트는 P-Hacking이다.
  • 백테스팅결과를 바탕으로 투자전략을 만드는것은 앞뒤가 잘못된것이다.
  • *제대로 된 퀀트는 합리적인 논리를 먼저 세우고, 가장 마지막에 한번 돌려보는 것이다.

3.애널리스트에게 Buy/Sell 요구

  • 명쾌하게, 속시원하게 결정이 된다면 그것은 잘못된 것
  • 오히려 불확실성안에서 조금이라도 논리적인 방식을 택해야 하는 것

경계해야할 두 부류

확신론자 : 이분법적, 결정론적 사고를 한다.

  • 0% 아니면 100% 이다. 회의론자 : 노력해봐야 소용없다는 패배주의
  • 모든것이 50% 이다.

공부를 해서 확률적 우위를 올려야 한다.

중기적인 투자, 손익비가 동일하다고 하면 55%의 승률도 매우 훌륭

  • 세상의 모든 지식을 공부하면 승률 100%까지 가능한가? 불가능하다.
  • 거시경제 시황은 탑급 거장도 60%면 훌륭, 초고빈도 매매는 승률이 높긴하다.

확률적 우위의 중첩

  • 자산 배분 Level -> 주식/채권 분류 -> 개별 종목 선정 Level > 매수 타이밍 Level
  • 각 Level 마다 확률적 우위 확보

내가 확률적 우위의 측정을 어떻게 할까?

  • 결론은 완벽하게 불가능하다.
  • 대신 추정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 백테스트 결과물 = 미래 승률에 대한 추정치.

단기적으로 몰빵하는것, 손쉽게 투자하는것, 공부없이 투자하는것은 반짝 돈을 벌 수 있다.

  • *부끄러워하고 그런 방법을 고수하면 안됨을 인지.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손실 계좌로 귀결된다.

2.자금의 우위

아무리 확률적 우위가 있더라도, 한번에 올인을 하면 안된다.

  • 트레이딩 할 때는 분할 매수.
  • 장기 투자는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

시드머니가 100만원일 때, 분산투자에 대한 노력에 가성비가 않나온다.

  • 연소득이 적을 수록 25배나 복권에 사용한다.
  • 저소득층일수록 부자가 되는 방법을 복권이라고 말한다.
  • 개미 투자자일수록 복권의 요소가 있는 주식에 집중, 연평균 5%손해

일정 소득 수준까지는 부와 행복도가 비례해진다.

  • 노동소득을 경시하고, 전업 투자자가 되겠다고 하지 말것.
  • 가장 위험한것은 목돈이 생긴 40대가 초보 투자자인 경우.

나이별 노동소득 vs 자본소득 리소스

  • 20대 8:2 -> 30대 6:4 -> 40대 4:6 -> 50대 2:8

3.절제의 우위

확률적 우위와 자금의 우위는 공부와 시간으로 어렵지는 않다.

하지만 절제가 흔들리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 누구나 다 벌었다는 소식을 들었을때 흔들리는 것.
  • 스스로 안타깝께 기회를 놓쳤다고 흔들리는 것.

수신제가치업평시장(수신제가치국평천하)

  • 수신 : 나를 컨트롤
  • 제가 : 가정을 컨트롤
  • 치업 : 회사, 사업 컨트롤
  • 시장 : 거시적 컨트롤

실패라는 필연적인 그림자와 공존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 스트레스 관리는 필수, 명상을 권장.

확률적 우위, 자금의 우위, 절제의 우위 모두 커리어, 인간관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역량.

  • 투자 공부는, 곧 인생 공부이다.

절제의 우위를 확보하는 방법

1.체력 관리 : 운동으로 의지력을 키울 수 있다.
2.도파민 관리 : 쾌락, 욕망, 불량 식품, 인스턴스, 게임, 포로노, SNS, 숏폼 ... 등 의지로 극복?! 3.타자화 : 나를 타인으로 객관적으로 바로 보는 것, 수단 : 일기쓰기

투자 수익이 나길 기대하는 사람의 뇌 = 코카인 중독자와 일치

  • 젊은 시절 잡주, 코인으로 크게 잃고 따는 행위는 돌이킬 수 없는 중독 증세로 이어질 수 있다.

평생 안읽어본 재무제표, 10분만에 읽기 - Valley AI 튜토리얼 Ep.1

Ref : https://www.youtube.com/watch?v=GePuFvI8xrg&list=PLE1Uaw0WKBCzDb5mkDg0keL9QldV9aH0Y&index=13

Goal

  • 재무제표 습관적으로 읽는 사람
    • 재무제표 오토파일럿으로 판단하는 습관, 하루에 10분이라도 체크해보기.
  • 사업보고서 및 공시자료를 읽기

투자를 위한 기업/산업 리서치, 어떻게 하는 걸까? - Valley AI 튜토리얼 Ep.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