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일에 몰입하기

일/공부 몰입 가이드

일/공부 중간중간 결과에 대한 생각때문에 몰입이 자꾸 깨진다.
목적과 결과를 잘 내기 위해서 하는 병든 집중을 하지 말것.

1.당장 하루를 잘 살기 위한 프레임
2.당장 한시간을 잘 하기 위한 프레임 3.반드시 즐거운 과정은 아니다. 극혐의 극단일 수 있다.
4.오감과 능력을 총동원 한다.
5.시작은 30분 정도로 타이머로 시작한다.
6.성취감이 없을 수 있다. 성과가 없을 수 있다. 상관없다.
7.30분은 만족했다.


Q. 막상 일/공부를 하려니, 어렵고 하기 싫어서 회피하게 돼요. 어쩌면 좋을까요?

막히고, 정체감, 안풀리는것, 성취감이 없는 것에 대해서...

  • 정체되어서 막혔던 포인트 마져도, 불쾌감으로 받아들여지는 것.
  • 일/공부가 너무너무 즐거워서 항상 좋은것이 아니다.!
  • 어렵고 계속 공부해도 진전이없고 끝까지 파고 하는 불쾌한 과정 조차도 만끽하는 것.
  • 인생을 100% 즐거움으로 채울려는것 조차도 하나의 목적주의에 가깝다.
  • 달고 쓴것 모두 완전히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행복하자... 라고 했을때 행복이 반드시 좋은 느낌으로다 채우는것이 맞는가?

  • 행복의 정의를 다시 해야 한다.
  • 행복은 아무런 목적없이 순수한 근원적 경험에 몰입하는 것.
  • 성취감, 성장감, 진도감은 플러스 알파로 생각해야 한다.
  • 부산물로 감정이 따라올수 있지만.. 어째든 그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충실한 경험을 했다 라는것에 새로운 인식을 넣어야 한다.
  • 목적없이 충만하자 라는 메타 목적 상태 => 메타 목적은 목적의 틀을 하지만 그것이 달성했을때 비로소 틀이 깨지는 목적

Q. 수험생/직장인인데, 일/공부할 때 아무 목표도 세우면 안 되나요?

목표와 목적은 다르다.

  • 목적 : 의미와 가치를 결정하는 것
    • 승진을 못해서 실패한 인생?
    • 수능을 망처서 실패한 인생?
  • 목표 : 단어장 500페이지를 잘 외는 것

Q. 자꾸 남은 양, 남은 시간을 의식하게 돼요. 그래서 집중하기가 힘들어요.

확실하게 실패하는 방법 : 불안속에서 이것도 저것도 못하는 방법이 있다.

  • 남은 양, 남은 시간을 의식해서 집중못하기
  • 실력은 천천히 쌓아야 하는데 마음이 조급하여 대충대충 공부하다 다 까먹기
  • 남들이 정해준 기준에 맞추어서 안절부절 못하기

양과 질에 집착하면 안된다.

  • 역설적이게도 마지막 결과에 집착하지 않은것이 가장 빠른길이다.
  • 너무 느리다는 생각은 ? - 사실 느리다는 느낌은 일시적이다.
  • 느려도 괜찮다. 확실하게 퀄리티를 잡고 지나가면 나중에 속도가 굉장히 빨라진다.
  • 느리더라도 현재에 집중하는것이 가장 빠른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