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감정 다스리기) 1.능력-기대 불균형

이상적으로 너무 높은 목표치를 가지고 있어서 그렇다. 높은 야망을 가진 사람과 자기 성찰이 강한 사람들에게 나타난다.

이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불안감, 압박감으로 시작조차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하기 싫은 이유는 목표가 너무 방대해서 반드시 성취할수 없음을 본능으로 직감한 것이다.

1.현실적인 작은 목표를 먼저 세우는것이 중요하다.
전체 로드맵은 그리되, 이번주에 손에 잡힐정도로 작게 목표를 다루기 예) “유창한 영어 회화” 대신 “하루 문서(작은 구절) 1개 영어로 설명해보기”


노력없이 그러한 능력들을 얻는건 도둑놈 심보다.

2.성장은 시간과 고통의 과정, 훈련의 과정이 필요함을 인정하기.

  • 과거에 문제풀면서 머리가 지끈지끈 아팠던 경험들이 반드시 수반되는 것.
  • 하기 싫고 잘 안되어서 답답해 죽을것 같은 감정도 수반되는 것.

그렇게 열심히 장기간 노력해도 잘 안되면 그만 아니야?

3.실패 자체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인지하기

  • 반드시 성공해야 하는 압박이 오히려 독이 된다.
  • 실패하는 과정 그 자체도 중요한 레슨이며, 우리가 말하는 성공한 사람들이 그 실패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시야를 넓혀서 보자.

모두 다 실패해도 그것 또한 미리 생각하자.

4.그날의 주인공이 되지 않더라도 받아들이겠다.

  • 나머지는 하늘의 뜻에 맡긴다.
  • 그것 또한 수용할 용기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