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MakeTime Framework

들어가며

Why i have to do this?

  • 바쁜 일상을 만들려는 편향, 하지만 그것이 성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바쁨!=잘함)
  • 이것저것 많이 해도 무엇을 했는지 뿌듯하지 않다. (뿌듯함 느끼기)
  • 집중만 하다가는 언젠가는 지쳐버린다. (번아웃)

3단계의 라이프라이클

메이크 타임 프레임워크는 3단계의 라이프라이클을 가진다.

하이라이트 > 초집중 > 돌아보기 + 에너지 충전

  • 매일매일 싸이클을 돈다.
  • 각 단계별로 나에게 맞는 전략을 취할 수 있다.
  • 처음부터 완벽하지 않더라도 실험을 통해 나아가자.

1.하이라이트 : 우선순위가 높은 하나의 목표로 하루를 시작
2.초집중 : 방해가 되는 핸드폰 등 다른 기기들을 금지 한다. 디폴트가 집중인 상태로 만들었다.
3.에너지 충전 : 에너지를 보충, 달콤한것 준비, 건강에 좋은 점심, 잦은 휴식시간, 근무시간 약간 줄이기.
4.돌아보기 : 실험을 통해 절차를 개선 및 피드백

이슈

에너지 부족 이슈

  • 9시간동안 일하면, 처음에는 집중이 잘 되다가 나중엔 힘들어 지기 마련.. 어떻게 대응 ?

회의 집중력 이슈

  • 회의가 중간중간 껴있으면 집중이 박살난다. 어떻게 대응 ?

완벽주의 이슈

  • 완벽하려고 하지 말자.
  • 너무 잘할려고하는 부담감이 엄습해온다.
  • 그러면 나는 행동을 굼뜨게 되거나, 인피티트 풀에 빠지게 된다.
  • 혹은 그날 줄줄이 소세지 처럼 연달아 있는 회의로 바쁘게 보내면 뿌듯해 한다.
  • 비지 밴드왜건효과로 심리적인 편향이다.

1.하이라이트

Why

우리가 바쁘게 지내다보면, 하루하루가 희미해지고 무엇을 했는지 기억이 안날 수 있다.

  • 이것이 하루의 하이라이트를 만들어야 하는 중요한 이유다.
  • 목표는 간단하다. 그날의 할 일 목록을 질주하듯이 가는것 보다, 즐겁게 기억하며, 순간을 경험하는 것

하루하루가 모호하여, 지난 2달동안 무엇을 했는지 기억이 않나.. 해결책을 찾아보려고 함.

  • 더 많은 일들을 처리하기 -> 실패, 더 시간만 빨리갈 뿐
  • 1년~5년 플랜 세우기 -> 실패, 너무 먼 이야기
  • 해결책은 의미를 더하는 방법
    • 조깅하거나, 친구를 만나서 노는것 만큼의 만족도를 얻으려면, 의미를 더하는 하이라이트 과정이 필요.
    • 일을 열심히 해서 성과를 내는 것과, 내가 만족감을 얻도록 하이라이팅 하는 것을 구분..!?

하이라이트 : 어떤 활동,순간,성취 등을 음미하고싶은 것

Experiments List(1)

1.나는 업무를 할 때 미시적인 목표를 설정하면 의미가 깊어진다.

가장 효과적인 미시적인 목표 : 똑똑해지기

  • 명확한 논리로 착착 이해하고, 정리했다는 쾌감.
  • 몰입상태라면 이런 과정에 가속도가 붙는 쾌감.

2.초집중

Why

Experiments List(1)

1.어떤 Task든 20분 타이머를 키고 그것만 집중한다.

  • 2분 이내 걸리는 테스크는 바로 수행하자.

  • 문제 : 사람의 집중력은 한시간 이상 지속하기 어렵다.
  • ("그러다보면 뭔가 그냥 바쁘고, 혼잡스러운, 초점은 잃은 그 상태 자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 예. 나는 강의 들은걸 정리할꺼야 -> 강의와 관련된 부속 내용 더 조사 -> 어느세 '부속내용'에 빠져버림,

2.타임박싱 기법

  • 문제 : 모든 업무가 중요하지는 않다.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 20%를 잘 고르면 전체 일의 80%의 임팩트를 가진다.
  • 방법
    • 2.1 백로그 작성
    • 2.2 우선순위 고르기
    • 2.3 1시간 단위의 타임박싱 적용하기
      • 원칙 1.단순하고 반복가능하도록 작업을 분리한다. - 마치 공장생산라인중 나는 일부가 된 느낌
      • *컨텍스트 스위칭이 가장 적고, 몰입 가능한 환경이면 좋다.

3.에너지 충전

Why

Experiments List(0)

4.돌아보기

Why

Experiments List(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