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모델:김재호, 커피한잔
- 하루에 4시간 코딩하며, 가족을 챙긴다.
- 1인 개발 7년하며 배운것은?
- 건물주의 기쁨과 슬픔 블로그 : https://brunch.co.kr/@buildingking
- K리그 프로그래머 : https://jeho.page/essay/2023/01/07/jocoding-youtube.html
- 커피한잔 개발자 (소개팅 어플, 1인 개발, 추정 순수익 월 1200 ) : https://maily.so/unsexybusinesskr/posts/10z33396zlw
📌 배경
1인 개발자 동기 : 회사는 여러분을 지켜주는 우산이다. 혼자 나가서 해보면 안타 한 번 치기도 어려울 것. (네이버 이해진 의장)
- 퇴사후 개발을 했다. 아이 크는 거 보면서 같이 잘 놀았다. 그리고 다시 회사 가면 된다.
혼자서 하는 게 가능한 이유
- Figma, Flutter, firebase, Cloudflare, GA, Google Ad, 슬랙(모니터링)
- 앱스토어, 플레이스토어, 통합 결제 라이브러리, (스토어 수수료 인하)
- 사람들의 행동 변화(돈을 더 잘쓰는)
내가 만들고 싶은것 vs 남들이 원하는 것
- 우선 만들어라, 만드는것이 더 어렵다. 만들다보면 남들도 원하는지 감이 잡힌다.
사용자 위주 개발자 vs 기술 위주 개발자
- 사용자 위주 개발자, 기술 위주 개발자 둘다 해야한다.
- 그냥 하기 싫으니까 나는 한쪽에 특화된 개발자다 라고 말하는건지.
- 둘다 적절하게 밸런스를 갖추면서 가야 한다. 결국 모두다 레벨이 높아야 한다.
인고의 시간 3년
- 3년 동안 한 달에 100만원도 못벌었다. 그냥 묵묵히 갔다.
- 이정도 했으면 자격이 있지 않은가?
- 계속 걸어가다보면 뭐라도 되겠지.
1인 개발자가 되기 위해 알아야 할 것
- iOS, Android, Web 개발
- Server (DB, Infra), 보안, 네트워크
- 기획, 디자인, 마켓팅, 법률
웹/앱 시장은 좋지만 경쟁이 심하다.
- 리뷰와 다운로드 수를 돈 주고 사는 시장도 있다.
- 경쟁사의 리뷰에 훼방까지 놓는다.
📌 결혼과 프로그래머
- 결혼 후 개발 전투력은 많이 떨어진다.
- 결혼과 육아 이후에는 예전처럼 많이 코딩할 수 없음.
- 다행이도 그 전에 쌓아둔 것이 많이 있었다.
📌 솔로프리너의 어려운 점 = 동기 부여
- 퇴사 후 풀타임으로 한다고해서 잘되지 않는 이유.
- 내 서비스라고 해서 매일 열심히 하게 되는 건 아니다.
- 시동 거는 게 어렵다. ( 해운대에 혼자 코딩하러 가서 2주 동안 누워만 있었다. )
- 혼자하면 자꾸 의지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 의지하려고 찾아봐도 어차피 내 문제는 내 손으로 해결해야 한다.
- 쉽다고 생각되면 뭔가 이상한 것
- 앱만드는게 많이 쉬운것 같지만, 그럼에도 어렵다.
- 대기업이라는 몸집이 큰 사람이 쫓아오면 스타트업처럼 몸집이 작은 사람은 오르막 길로 도망쳐야 한다.
📌 장사와 많이 비슷하다.
1.앱 서비스는 손님이 안보일 뿐, 손님응대랑 동일하다.
- 손님 입장에서 가게를 보고, 사장 입장에서 보고.
- 음식점 처럼 얼굴이 보이고, 바로 대화하면 좋을텐데 앱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대화를 한다. 코드가 응답을 해준다랄까
- 로그와 모니터링에 많은 신경을 썼다.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하는 것.
- 여러분이 만든 세상을 위에서 내려다 보고 있어야 한다.
2.손님은 왕이 아니다.
- 해달라는 대로 다 해주면 망한다. 창시자 만큼 도민해본 사람은 없다. 사용자의 피드백의 진짜의미를 알아내라.
📌 회사에서 열심히 해봐야할 것들
1.FE/BE 개발
2.인증, 결제, 로그인 플로우, 상태 관리
3.인프라, 보안, 배포
4.기획서 꼼꼼히 리뷰하기
5.광고 만들어보기
6.고객 문의
- 회사 그만두고 풀타임 일을하면 생각보다 잘 안된다.
- 회사는 프랜차이즈 같은 것.
- 회사에서 열심히 배워서, 나만의 가게를 내야지 하는 마인드가 중요하다.
📌 홀로 서기
- 회사 다닐 때 월급을 넘어섰을 때
- 세상에 드디어 홀로 섰다고 느겼던 순간이다.
- 시스템 안에 있을 땐 보이지 않는 것들
📌 서버비용 많이 들지 않냐 ?
- AWS 는 비싸다. 그냥 5년간 집에서 시작해도 좋다.
- 2년전에 마이그레이션 했고 한달에 30만원 나온다.
📌 꾸준함이 중요. 조급함은 경계
꾸준함
- 매일 코딩하는 것.
- 자기 자신과의 싸움
조급함
- 1.돈 버는 일이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인지하기. 그렇게 쉽게 될리가 없다.
- 2.돈을 아껴써야 한다.